비굴착 부분보수,전체보수
|
비굴착 부분보수 (H.A.R.D 공법) 노후된 관로를 보수함에 있어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및 공법은 땅을 파지 않고, 관 세정 후 크랙 등이 발생된 노후 매설관로 속에 보강튜브를 삽입시켜 하수관 속에 새로운 복합관을 형성시키는 공법으로서 시공성, 신뢰성, 경제성 면에서 장점이 많은 공법이다. (관경 150~1000mm 까지 가능함) 하수관비굴착보수 효과 - 매설관 보수공사 공기의 획기적 단축 - 굴착에 따른 상권피해, 교통장애, 소음, 분진 등을 최소화하여 사회간적자본 손실 방지 - 굴착공사 시 발행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(가스폭발, 통신관절단)방지 - 도로의 굴착 규제, 타 지하 매설물로 인한 제약에서 해방, 계획적인 사업추진 - 고도화된 비굴착 방식으로 관거 보수의 선진화를 도모하고 단시간에 정밀보수 - 정밀 생산 공단의 분진, 소음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생산성 향상효과 장비 및 시공사진 시공순서 시공순서 H.AR.D 공법의 시공순서는 다음과 같다. ① 준비공 - 작업차의 배치, 환기, 산소농도 측정, 윈치 설치 등을 한다. ② 세정공 - 고압세정차를 사용하여 관내를 세정, 청소한다. 단, 퇴적물이 많을 경우에는 준설공을 별도 시행한다. ③ 보수위치 확인 - 측시 카메라를 사용해서 보수개소별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고, 보수기 견인케이블에 구간별로 별도 표시를 한다. ④ 보수공 - 필요한 관경의 보수기를 준비하고 압축공기가 새지 않는지를 확인한다. - 관경에 맞는 키트에서 내면보수재와 외면보수재 등 규격과 내용물을 확인하고 작업을 위한 사전 준비를 한다. - 수지와 충전제를 충분히 혼합한 후 시공현장의 기상여건, 작업조건 등 (대기온도, 습도, 작업 시간 등)을 고려, 사전에 공급된 관경별 경화제 PET병을 개봉, 투입 후 충분히 혼합되도록 한다. - 미리 준비한 관경에 맞도록 제작된 내면, 외면 에 잘 혼합된 수지를 도포하여 충분히 함침 시킨다. - 보수기를 거치대에 거치시킨 후 첫째 --- 박리용 비닐을 감아 보수기 양쪽 끝을 끈으로 고정한 다음 박리용 비닐에 박리용 유제를 바른다. 둘째 --- 함침된 내면보수재는 내부에 외면보수재는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분하여 보수기에 바르게 감는다. 셋째 --- 보수기 이동시 보수재 밴드로 고정시킨다 - 보수재가 장착된 보수기를 맨홀 내에 내린 다음 견인용 케이블에 미리 표시된 지점으로 주의하여 이동하며 보수지점에 도달하면 CCTV 측시카메라로 재확인한다. ⑤ 경화관리 - CCTV카메라로 보수재의 풀림상태를 관찰하면서 보수재가 완전히 부풀린 후 관경의 외벽에 밀착되어 일정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사전에 정해진 표준압력까지 보수기에 압축공기를 주입한다. 시공자는 본 공정을 이행하기 전에 보수기의 표준압력 설정법에 따라 정확한 압축계기를 이용하여, 시공사가 보유하고 있는 각 보수기의 표준압력을 설정하여야 한다. 또한 이 표준압력은 수시로 체크하여 그 변동이 발생할 경우 이를 정정하여 사용토록 한다. - 상기 표준압력을 탈형시까지 일정하게 유지하고 본 공법에서 정한 최소 소요 후 경화시간(60분) 이상을 경과한 후에 탈형을 하여야 하며, 현장 여건에 따라 이를 연장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사전에 정해진 경화완료예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탈형하여야 한다. ⑥ 시공결과 확인 - 보수기 철거한 후에 시공결과물을 CCTV카메라로 그 상태를 육안으로 점검하여, 재시공여부를 결정한다. - 보수상태가 일정 수준이상으로 양호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시공결과를 정리하여 보관한다. ⑦ 현장정리 및 현장복구 - 시공결과확인이 완료되면 신속히 현장의 교통, 인원통제, 물돌리기 등을 원상복구하고 현장을 정리한 후에 철수한다. ⑧ 보고서 작성 - 본 공법에 필요한 보고서에는 직시 및 측시 촬영사진이 포함되어야 하며, 필요한 사진은 보수 전과 보수 후를 구분한 사진으로 보수개소별로 그 시공결과를 충분히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. ⑨ 기타 - 본 공법에서는 사전공정으로 관내 장애물(부착몰탈, 콘크리트, 돌출관, 나무뿌리, 타관 등)이 있을시는 Cutting 로보트로 보수공에 지장이 없도록 장애물을 안전하고 확실하게 제거한 후 보수공을 실시하도록 한다. - 원활한 시공과 품질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공정 전에 필수적으로 관로세척을 실시하여야 한다.
전체보수 (M.S.H.S 공법) 공 법 명 : 다기능 안전고압호스를 이용한 하수관 비굴착 전체보수공법(MSHS공법)(신기술 제711호)
MSHS공법의 특징
4) 경화방식 : 안전고압호스를 이용한 스팀공급으로 전구간 동시 열경화 특장점
1. 뛰어난 경제성
-가시설 적용 및 심도 깊은 굴착을 수반하는 하수관 보수공사에 비해 공사비 저렴 -투입 인원의 감소로 인건비 절감 2. 탁월한 시공성 -굴착의 불필요 3. 우수한 내구성 하수관 내에 형성된 현장경화관의 수명을 향후 50년으로 전망 4. 환경친화적 -유출수에 의한 토양, 지하수, 오염을 방지하여 수밀성 확보 5. 통수능향상 -조도계수의 향상으로 유속증가와 유하능력 개선 6. 안전성 향상 - 단순한 시공 공정으로 안전사고 감소 -타 매설관리 저축으로 인한 위험성 해소 작업사진 시공의 절차
① 사전준비공(CCTV조사,자재준비,연결관 및 지장물제거등)
|